-
목차
처음 목공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고민이 바로 “어떤 나무를 써야 하지?”입니다. 나무라고 다 같은 나무가 아니고, 이름도 어렵고, 생김새도 비슷비슷한데 가격은 또 천차만별이니까요. 목공을 오랫동안 해온 분들도 여전히 나무 고르기에 시간을 들이는 이유는, 좋은 결과물은 결국 ‘재료 선택’에서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목공 초보자 분들을 위해, 목공용 나무를 고를 때 꼭 고려해야 할 기준들을 하나하나 정리해보겠습니다.
1. 무엇을 만들 것인지 먼저 정하자
나무 고르기 전에 먼저 해야 할 질문은 이것입니다. “나는 지금 뭘 만들려는가?”
- 책상, 식탁처럼 하중을 견뎌야 하는 가구 → 단단하고 안정감 있는 하드우드 추천
- 수납장, 선반, 작은 소품 등 비교적 가벼운 작업 → 가공이 쉬운 소프트우드 적합
- 야외용 가구나 데크 → 수분과 곰팡이에 강한 내구성 목재 필요
용도를 모른 채 나무를 고르면, 지나치게 무거운 나무를 쓸 수도 있고, 반대로 쉽게 뒤틀리는 나무를 잘못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먼저 목적을 분명히 해야 선택도 쉬워집니다.
2. 하드우드 vs 소프트우드, 차이를 이해하자
목재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하드우드와 소프트우드. 여기서 말하는 '하드(hard)'와 '소프트(soft)'는 반드시 나무의 단단함을 의미하는 건 아닙니다. 이 분류는 나무의 생장 방식과 구조에 따라 나누어진 것이며, 실제로는 단단한 소프트우드도 있고, 비교적 부드러운 하드우드도 있습니다.
- 하드우드(Hardwood)
- 대표 수종: 오크, 월넛, 체리, 메이플 등
- 특징: 활엽수 계열로, 성장 속도가 느리며 나뭇결이 촘촘하고 밀도가 높습니다.
- 장점: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하여 오래 쓰는 고급 가구 제작에 적합합니다. 시간이 지나도 형태 변화가 적고, 아름다운 에이징(aging)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무겁고 단단한 만큼 가공이 어렵고, 도구의 날이 쉽게 무뎌지며 가공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 소프트우드(Softwood)
- 대표 수종: 소나무, 전나무, 삼나무, 가문비나무 등
- 특징: 침엽수 계열로, 성장 속도가 빠르고 조직이 비교적 단순하며 가볍습니다.
- 장점: 가공이 쉽고, 톱질이나 못질도 수월해 초보자나 DIY 작업에 적합합니다. 가격도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 단점: 하드우드에 비해 강도가 낮고, 옹이와 수지(끈적한 진액)가 많은 경우가 있어 마감 처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목공 입문자라면 먼저 소프트우드로 연습하며 감각을 익히고, 작업에 자신감이 붙었을 때 하드우드로 넘어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단단한 나무가 반드시 더 좋은 나무는 아니며, '무엇을 만들 것인가'에 따라 가장 적합한 목재는 달라집니다. 목재 선택의 핵심은 '용도와 작업자 수준에 맞는 조화로운 선택'입니다.
3. 나뭇결과 옹이, 꼭 확인하자
- 결이 곧고 일정하면 가공이 쉽고, 마감 후에도 깔끔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옹이가 많은 나무는 시각적으로는 멋스러울 수 있지만,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니 구조용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DIY 가구는 겉보기에도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결과 옹이의 분포를 눈으로 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4. 건조 상태, 생각보다 더 중요하다
목재는 수분에 민감합니다. 아직 마르지 않은 나무는 시간이 지나며 휘거나 갈라질 수 있습니다.
- 자연건조 나무는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안정성이 높고,
- 인공건조는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만, 내부 응력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목재의 수분 함량이 8~12%일 때 가장 가공하기 적합하니, 수분계가 있다면 꼭 체크해보세요.
5. 예산과 시간도 나무 선택의 기준이다
좋은 나무일수록 비싸고, 가공도 오래 걸립니다. 초보자라면 너무 고가의 원목을 선택하기보다, 비교적 저렴한 소프트우드나 집성목으로 먼저 경험을 쌓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정밀한 작업보다 크고 단순한 구조의 가구를 먼저 만들어보면 목재의 성질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목재 선택은 마치 사람을 고르는 일과도 비슷합니다. 처음엔 다 비슷해 보여도, 하나하나 살펴보면 각기 다른 성격과 특성이 있지요. 무엇을 만들지, 어떤 느낌을 내고 싶은지, 얼마나 오래 쓸 건지에 따라 ‘잘 맞는 나무’는 달라집니다.
이번 글이 여러분이 나무를 고를 때, 조금 더 자신 있게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길 바랍니다. 좋은 재료를 고르는 것, 그것이 멋진 목공의 시작입니다
'목재의 종류와 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재 이름이 어려운 분들을 위한 쉬운 정리 (0) 2025.03.25 목재의 강도, 밀도, 내구성 완전 정리 (0) 2025.03.25 목재 가공 전 꼭 알아야 할 기본 특성 (0) 2025.03.24 시간이 지나도 예쁜 나무는 어떤 걸까? (0) 2025.03.23 원목 가구 제작 전 알아야 할 목재 상식 (0) 2025.03.22